히에론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에론 2세는 기원전 275년 시라쿠사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후 왕으로 즉위하여 기원전 215년 사망할 때까지 시칠리아를 통치했다. 그는 마메르티니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카르타고의 개입으로 메시나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으며, 로마와의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는 카르타고와 연합하여 로마에 대항했으나 패배 후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 이후 로마에 충성을 다하며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시라쿠사는 번영을 누렸다. 또한, 그의 친족인 아르키메데스와의 관계와 금세공인의 사기를 밝혀낸 일화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15년 사망 - 고레이 천황
고레이 천황은 일본의 제7대 천황으로, 결사팔대 중 한 명이며,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이름과 계보가 기록되어 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고, 재위 기간 동안 구로다노로도노미야에 황거를 두었으며, 기비 지역 평정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 쉬라쿠사이의 참주 - 티몰레온
티몰레온은 기원전 4세기 코린토스 출신으로 형제 살해 후 은퇴했으나, 시라쿠사의 요청으로 시칠리아로 건너가 폭정을 종식시키고 카르타고의 침략을 막아 평화를 가져왔으며 민주 정부 수립과 도시 재건에 헌신하여 시칠리아인들에게 존경받는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 쉬라쿠사이의 참주 - 디오니시오스 1세
디오니시오스 1세는 기원전 5-4세기 시라쿠사의 참주로, 군사적 능력을 바탕으로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남부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카르타고와의 전쟁, 용병 활용, 영토 확장, 예술 후원 등을 통해 세력을 키웠다. - 피로스 전쟁 - 베네벤툼 전투
베네벤툼 전투는 기원전 275년 로마 공화정이 에피루스의 왕 피로스를 상대로 승리함으로써, 피로스의 이탈리아 철수와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통일 발판 마련, 그리고 로마 군단의 군사적 우수성을 입증한 전투이다. - 피로스 전쟁 - 피로스의 승리
피로스의 승리는 승리했지만 너무 큰 손실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패배와 다름없는 상황을 비유하는 용어이다.
히에론 2세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기원전 308년경 |
사망 | 기원전 215년 |
통치 시작 | 기원전 270년경 |
통치 종료 | 기원전 215년 |
이전 통치자 | 퓌르로스 |
다음 통치자 | 히에로니모스 |
왕국 | |
정치 체제 | 왕국 |
수도 | 시라쿠사 |
이름 | |
그리스어 | Ἱέρων Β΄ |
로마자 표기 | Hierōn II |
가문 | |
왕조 | 히에로 왕조 |
아버지 | 히에로클레스 |
배우자 | 필리스티스 |
자녀 | 겔론 히에로니모스의 어머니 |
생애 | |
주요 사건 | 마메르티니와의 전쟁 제1차 포에니 전쟁 참여 로마 공화국과의 동맹 |
2. 권력 장악
피로스가 시칠리아를 떠난 기원전 275년, 시라쿠사 군대와 시민들은 히에론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시라쿠사의 유력 시민 중 한 명인 렙티네스의 딸과 결혼하여 자신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1] 히에론은 에페이로스 왕 피로스 휘하의 장군이었으나, 피로스가 시칠리아를 떠난 후에도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그곳에 남았다.
그는 시라쿠사의 과거 왕이나 폭군들과 달리 법의 테두리 안에서 통치했고, 시라쿠사 집회와 함께 통치했으며, 반대파를 숙청하지 않았다.[1]
2. 1. 마메르티니와의 전쟁
피로스가 시칠리아를 떠난 후(기원전 275년), 시라쿠사 군대와 시민들은 히에론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한편, 캄파니아 출신 용병 부대인 마메르티니는 메시나를 점령하고 주변 그리스인들을 괴롭히고 있었다. 히에론은 롱가누스 강 근처 밀라에에서 마메르티니를 격파했으나, 카르타고의 간섭으로 인해 메시나를 점령하지는 못했다.[1]기원전 264년, 마메르티니는 로마에 도움을 요청했다. 히에론 2세는 카르타고 장군 한노와 연합하여 로마에 맞섰으나, 로마 집정관 클라우디우스 카우덱스에게 패배했다. 이후 로마와 조약을 맺어 타오르미나 서쪽 시칠리아 섬 동해안 지역만 지배하게 되었다.
3. 제1차 포에니 전쟁
기원전 264년, 히에론 2세는 마메르티니를 다시 공격했다. 마메르티니는 로마에 지원을 요청했고, 히에론 2세는 카르타고 장군 한노와 연합하여 로마 집정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우덱스가 이끄는 로마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3][1]
3. 1. 로마와의 동맹
기원전 264년, 히에론 2세는 마메르티니를 다시 공격했다. 마메르티니는 로마에 도움을 요청했고,[3] 히에론 2세는 시칠리아에 상륙한 카르타고의 지휘관 한노와 합류했다. 그러나 집정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우덱스가 이끄는 로마군과의 전투에서 뚜렷한 결과를 내지 못하고 시라쿠사로 후퇴했다.[3][1]로마 군대의 압박을 받은 히에론 2세는 기원전 263년에 로마와 조약을 체결하여 시칠리아 남동부와 타우로메니움까지의 동부 해안을 통치하게 되었다.[1][4]
4. 포에니 전쟁 이후
히에론 2세는 기원전 215년 사망할 때까지 로마에 충성을 유지했으며, 포에니 전쟁 동안 병력과 물자를 제공하며 로마를 지원했다.[5] 그는 방어 목적으로 강력한 함대를 유지했다.[1]
4. 1. 아르키메데스와의 관계
히에론 2세는 그의 친척인 아르키메데스를 고용하여 여러 기계를 제작하게 하였는데, 이는 훗날 로마의 시라쿠사 공방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1]비트루비우스에 따르면, 히에론 2세는 신전에 봉헌할 봉헌용 관을 만들 금세공인이 금의 일부를 빼돌리고 은을 섞어 속였다고 의심했다.[6] 그는 아르키메데스에게 왕관에 모든 금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해달라고 요청했다. 아르키메데스는 왕관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체 변위의 원리를 이용해야 했다. 목욕탕에서 물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본 아르키메데스는 물의 변위를 통해 왕관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발견에 흥분한 그는 옷을 입는 것도 잊은 채 "유레카"를 외치며 시라쿠사 시내를 알몸으로 뛰어다녔다고 한다. 비트루비우스는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으로 금세공인의 사기를 밝혀낼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6]
5. 업적 및 평가
테오크리토스의 16번째 시에는 히에론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시라쿠사가 번영을 누렸다는 묘사가 나타난다.[7] 히에론 2세의 재위 기간 동안 '히에론 양식 건축'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건축 양식이 시칠리아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일부 학설과는 달리 이러한 양식적 혁신이 히에론이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중앙 프로그램의 결과였다는 증거는 없다.[7]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제6장)에서 히에론 2세를 매우 훌륭한 인물로, 사적인 개인에서 군주로 권력을 얻은 드문 사례로 언급하며, 그를 모세, 키루스, 테세우스, 로물루스와 비견했다.
참조
[1]
EB1911
[2]
웹사이트
The Rise of Hiero II
http://www.perseus.t[...]
1962-01-01
[3]
웹사이트
Hiero and Rome
https://www.perseus.[...]
[4]
서적
Polybius i. 8–16; Joannes Zonaras Viii. 9
[5]
서적
Livy xxi. 49–51, xxii. 37, xxiii. 21
[6]
서적
De architectura IX, Preface, 9-12
[7]
서적
Hieronische Architektur auf Sizilien. Überlegungen zu einem modernen Forschungskonstrukt
Harrassowitz
2022-01-01
[8]
웹사이트
The Rise of Hiero
http://www.perseus.t[...]
[9]
웹사이트
Hiero and Rome
http://www.perseus.t[...]
[10]
서적
역사
[11]
웹사이트
로마사
http://www.gutenberg[...]
[12]
웹사이트
Death of Archimedes: Sources
http://www.math.nyu.[...]
Courant Institute of Mathematical Sciences
2007-01-02
[13]
웹사이트
De Architectura, Book IX, paragraphs 9–12, text in English and Latin
http://penelope.uchi[...]
2007-08-30
[14]
웹사이트
Incompressibility of Water
http://www.fas.harva[...]
2008-02-27
[15]
웹사이트
Buoyancy
http://hyperphysics.[...]
2007-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